• 청년도약계좌로 목돈 만들기 신청 방법 및 조건 총정리

    2023. 3. 13.

    by. YouthRang

    며칠 전 오천만원 이라는 목돈을 모을수 있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청년 적금 상품 인 청년도약계좌가 6월 출시되는 것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청년 도약 계좌로 목돈 만들기 신청 방법 및 조건 총정리

     

    적금 상품에 가입하고 잘 관리만 하면 목돈으로 오천만원까지 모을 수 있는 너무나 좋은 기회입니다.

    신청 대상인데 몰라서 못받는다면 엄청난 손해겠죠?

     

     

    오래 걸리는 것도 아닌데 신청 조건과 혜택, 신청방법 잠시 살펴보고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매월 70만원 한도의 5년 동안 가입할 수 있는 상품
    2. 취급기관 은행 이자 (미정) + 소득에 따라 3~6%의 정부 기여금 추가 혜택
    3. 이자 소득은 전액 비과세

     

     
    포스팅 목차

      청년 도약 계좌란?

      근로, 사업 소득이 있는 청년(만 19~ 34세) 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정부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매월 최대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부할 수 있는 5년간 가입가능한 상품으로 2023년 6월 출시되기로 확정되었습니다.

      취급기관(시중 은행)의 이자와 함께 청년들의 소득에 따라서 3~6프로 정도의 정부 기여금을 추가로 받으실 수있습니다.

       

      한달에 70만원씩 5년간 넣으면 이자까지 합쳐서 오천만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청년도약계좌의 핵심 내용입니다.

      신청 방법

      아직 정부에서 취급 기관(은행)을 모집 중에 있습니다. 

      취급하는 은행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확정되는 대로 신청하는 방법도 포스팅 하겠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을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가입 조건

      나이

      만 19세 ~ 34세의 청년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까지 인정)

      개인소득/가구소득 기준

      개인소득 총급여 기준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프로 이하

      그리고 총급여 기준 6,000만원 이하는 소득 기준과 납입 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을 추가로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6,000만원 ~ 7,500만원 까지는 정부기여금 없이 비과세만 적용됩니다.

      가입 불가능

      직전 3개년도 중 한번 이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라면 가입이 불가합니다.

      (참고로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이자소득 + 배당소득이 2,000만원 초과인 경우를 말합니다.)

       

      지자체별 자산 형성 상품 및 내일채움공제와 동시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하신 분만기 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정부 기여금 지급 구조

      개인 소득에 따른 정부 기여금 어떻게 지급되는 지는 아래 표를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개인소득별 정부기여금 지급 구조 (출처 :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청년도약계좌 금리

      아직 확실하게 정해지진 않았기 때문에 아직은 미정입니다.

      추후 금리 수준이 확정이 되면 금융협회 홈페이지 등에 공시 예정이라고 합니다.

      아마도 현재 기준으로 평균 4 ~ 6% 정도가 평균 적금 금리기 때문에 여기서 비슷하게 정해지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해당 시점 한국은행 기준금리 + 고정금리 기간 중 적용된 가산금리)

      3년을 초과하여 고정금리가 적용되는 금리구조등 다른 금리구조를 가지는 상품이 서민금융진흥원과 취급기관(은행)과의 협의를 통해 출시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리고 저소득층 (개인소득 2,400만원 이하)에 해당하는 청년에 대해서는 우대금리가 포함될 것 같습니다.

       

      가입심사와 유지심사 방식

      2023년 6월 부터 가입신청을 받아 비대면으로 심사하며 가입일로 부터 1년 주기로 유지심사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가입 심사

      취급기관(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입 신청할 수 있고 개인소득과 가구 소득 심사가 병행됩니다.

      가구원은 가입당시 기준으로 확정하며 개인, 가구 소득은 22년도 소득이 확정(23년 7~8월 확정) 되기 전까지는 21년도 소득 기준으로 가입 여부를 판단합니다.

      유지 심사

      가입일로부터 1년을 주기로 개인 소득을 현행화한 후 정부 기여금 지급 여부 및 지급 규모를 조정받게 됩니다.

      가구원 변동으로 인한 불이익 방지를 위해 가구 소득 변동은 미반영 됩니다.

      중도해지 가능 여부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한다면 가능

      본인 납입금 외에 정부기여금이 지급되고 비과세 혜택도 적용 가능

      1. 가입자의 사망 또는 해외 이주
      2. 가입자의 퇴직
      3. 사업장의 폐업
      4. 천재지변으로 인한 해지
      5.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6. 생애최초 주택 구입

       

       

      자세한 내용은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를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을 통해 공지되는 내용도 함께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됩니다.

       

    Designed by Organic